교육수요자만족도조사
목적
교육만족도 조사는 만족도가 낮은 분야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여 학생 중심의 교육지원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고, 향후 정부재정지원사업 및 대학의 미래계획수립 등에 활용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습니다.
교육만족도 조사 시스템
관련규정 및 조직구성
- 교육만족도 관리규정 : 제5조(실행부서)
- 교무처 : 재학생 교육 및 교원만족도 조사
- 학생지원처 : 학부모, 생활관 및 복지시설 만족도 조사
- 국제협력처 : 유학생 만족도 조사
- 총무처 : 직원 만족도 조사
- 산학협력단 : 산업체 만족도 조사
- 호심취·창업지원단 : 졸업생, 대학생 취업기업 만족도 조사
- 조직도
만족도조사절차
만족도조사
추진방법
- 내부구성원(학생, 학부모, 교직원)과 외부구성원(산업체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
- 재학생 : 교육(전공, 교양, 비교과), 시설 및 기타서비스 만족도
- 유학생 : 유학(생활, 교육) 만족도
- 졸업생 : 취업지원 만족도
- 학부모 : 대학인지도, 교육, 장학제도 만족도
- 생활관 : 사생관리, 시설관리 만족도
- 교직원 : 근무환경(교육, 연구, 제도, 복지) 만족도
- 산업체 : 기업지원(R&D, 사업화, 인력양성), 졸업생(역량, 교육) 만족도
- 조사 대상에 따라 전화ㆍ이메일ㆍ문서배부ㆍ개별면담ㆍ온라인설문조사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조사
결과 활용
활용 방안
- 학생 교육만족도 조사 : 전공 교육과정 개편 등에 반영
- 학생, 교원, 직원의 행정서비스 만족도 조사 : 서비스 개편 및 제고를 위해 활용
- 학부모 및 산업체, 졸업생 대상 만족도 조사 : 서비스 개편 및 제고를 위해 활용
추진일정
- 교육수요자만족도 조사 시행계획(안) 확정
- 교육수요자만족도 조사 실행계획안내 및 실행부서별 계획 수립
- 만족도 조사 시행
- 전문기업에 분석 의뢰 및 분석보고서 도출
- 교육수요자만족도조사 결과 공유
환류체계
교육수요자 만족도
산업체수요자 만족도
기대효과
- 교육수요자의 만족도 조사 결과를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교육의 질 향상
- 사회적 수요에 맞는 교육과정을 발굴하여 기업 및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 배출
- 행정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