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ege of Health Welfare
사람과 사람 사이에 흐르는 따뜻한 사랑, 마음과 마음을 이어주는
서로에 대한 교감, 이것이야말로 광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교육입니다.
기술보다 먼저 인성을 가르치는 곳! 이곳은 36.5℃ 따뜻한 체온이 느껴지는
광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입니다.
올바른 민주시민의식, 창의적 융복합사고력, 전문적 현장실무능력을 고르게 갖춘 ‘인간복지’ 고급인력 양성은 광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이 이 시대에 대하여 가지는 사명감입니다. 보건복지대학 교수진은 지역사회, 국가, 그리고 세계의 보건복지 현장에서 ‘인간다운 삶’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전문적 지식 및 기술의 습득과 바른 가치관 정립을 중요시합니다. 보건복지대학은 간호학과, 작업치료학과, 사회복지학부(사회복지전공, 노인복지전공, 가족복지전공), 언어치료학과, 식품영양학과, 보건행정학부(의료관리전공, 의료정보전공) 등 2개 학부 4개 학과로 구성되어 있고, 학과 및 전공 간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폭넓은 학습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테이블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학과(전공) | 구분 | 학과특성 | 재학생(단위:명) | ||
---|---|---|---|---|---|
정원내 | 정원외 | 계 | |||
간호학과 | 주간 | 일반과정 | 348 | 52 | 400 |
보건행정학부 | 주간 | 일반과정 | 184 | 5 | 189 |
사회복지학부 | 주간 | 일반과정 | 375 | 56 | 431 |
식품영양학과 | 주간 | 일반과정 | 133 | 4 | 137 |
심리학과 | 주간 | 일반과정 | 125 | 6 | 131 |
아동학과 | 주간 | 일반과정 | 75 | 2 | 77 |
언어치료학과 | 주간 | 일반과정 | 109 | 2 | 111 |
유아교육과 | 주간 | 일반과정 | 271 | 23 | 294 |
작업치료학과 | 주간 | 일반과정 | 210 | 21 | 231 |
청소년상담·평생교육학과 | 주간 | 일반과정 | 128 | 7 | 135 |
스포츠과학부 | 주간 | 일반과정 | 38 | 1 | 39 |
보건의료공학과 | 주간 | 일반과정 | 18 | 1 | 19 |
보건의료관리학과 | 주간 | 일반과정 | 35 | 0 | 35 |
생명건강과학과 | 주간 | 일반과정 | 11 | 0 | 11 |
스포츠레저학과 | 주간 | 일반과정 | 135 | 3 | 138 |
보건복지교육대학 소계 | 2,195 | 183 | 2,378 |
※ 2019년 4월1일 기준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테이블을 보실 수 있습니다.
기준연도 | 단과대학 | 학과(전공) | 합계 | 전임교수 | |||
---|---|---|---|---|---|---|---|
계 | 교수 | 부교수 | 조교수 | ||||
2019 | 보건복지교육대학 | 간호학과 | 12 | 12 | 0 | 3 | 9 |
2019 | 보건복지교육대학 | 보건행정학부 | 7 | 5 | 3 | 0 | 2 |
2019 | 보건복지교육대학 | 사회복지학부 | 13 | 6 | 5 | 0 | 1 |
2019 | 보건복지교육대학 | 스포츠과학부 | 7 | 3 | 0 | 0 | 3 |
2019 | 보건복지교육대학 | 스포츠레저학과 | 1 | 0 | 0 | 0 | 0 |
2019 | 보건복지교육대학 | 식품영양학과 | 3 | 3 | 1 | 0 | 2 |
2019 | 보건복지교육대학 | 심리학과 | 6 | 4 | 1 | 1 | 2 |
2019 | 보건복지교육대학 | 아동학과 | 2 | 2 | 0 | 0 | 2 |
2019 | 보건복지교육대학 | 언어치료학과 | 4 | 4 | 0 | 2 | 2 |
2019 | 보건복지교육대학 | 유아교육과 | 14 | 10 | 4 | 3 | 3 |
2019 | 보건복지교육대학 | 작업치료학과 | 5 | 5 | 1 | 2 | 2 |
2019 | 보건복지교육대학 | 청소년상담ㆍ평생교육학과 | 10 | 5 | 1 | 2 | 2 |
보건복지교육대학 소계 | 84 | 59 | 16 | 13 | 30 |
※ 2019년 4월1일 기준
간호학과는 인류의 안녕과 봉사정신을 실천하는 21세기의 유능한 간호지도자 양성을 목표로, 간호전문 지식과 체계적인 실습을 통하여 개인, 가족 및 지역사회의 건강증진, 질병예방 및 안녕을 실현하기 위한 전문 지식과 실무능력을 갖춘 리더를 배출하고 있다. 본 학과 졸업생들은 서울, 수도권 및 우리지역 유수 대학병원에서 우수한 실무 능력을 갖춘 간호사로 활약하고 있다.
작업치료는 신체적·정신적·심리사회적 문제를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일상의 작업활동을 사용하여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훈련한다. 또한 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고 참여하면서 질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전문재활서비스이다. 작업치료사 면허를 취득하면 의료기관, 지역사회보건·복지관련분야, 발달장애센터, 특수학교, 보건직공무원, 가정방문작업치료, 장애인직업훈련기관, 의료기획사, 해외취업, 장애아동전담/통합어린이집 등에서 근무하게 된다.
사회복지전공 : 인간의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학문인 사회복지학을 학습하여, 민간복지기관과 공공복지기관에서 활동하는 사회복지사를 양성한다.
노인복지전공 : 노인문제를 예방·해결하여 노인들이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노인을 전문적으로 원조하는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여 노인복지전문가를 양성한다.
가족복지전공 : 가족의 복지와 행정에 대해 공부하여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가족과 아동, 가족자원관리 등을 공부해 가족복지분야 전문가를 양성한다.
현대사회에서는 다양한 장애에 대해 전문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재활 서비스를 요구하므로 언어장애 재활 전문가의 필요성 또한 절실해 지고 있으며 그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언어치료학과는 선천적 혹은 후천적 원인으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과 성인의 의사소통 능력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언어재활 전문가를 양성하는 학과이다. 각 학년에 따라 단계별로 이론적이고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여 국가고시에 대비할 뿐만 아니라 교내 및 교외에서의 실습경험을 통한 임상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식품영양학과는 영양관련 분야, 식품관련 분야 및 외식산업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연구능력을 함양하고, 관련 학문 분야를 특성화시켜 이를 세분화하는 동시에 통합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식생활 개선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기초과목 집중 학습으로 실용적 응용능력을 배양하고 식품과 영양의 연계교육을 실시한다. 또 식품에 대한 과학적 이해 및 평가능력을 교육하고 교수들의 연구 활동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실험능력을 강화한다
보건행정학부는 의료관리 전공과 의료정보 전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의료관리 전공에서는 보건의료 및 복지 분야의 경영, 행정, 홍보와 관련된 전문교육을 철저한 산학협동 체계를 구축하여 실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성 있는 교육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의료정보 전공에서는 광공학 및 전자공학 등 첨단 공학기술을 이용하여 현대적 의료장비를 연구개발하고, 현대의 발달된 IT기술과 접목하여 광역진료시스템(Ubiquitous Healthcare System)과 같은 과학적 진료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의학과 공학이 융합된 첨단기술의 집약체로서 고도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신산업기술이며, 이제 막 시작된 학문적 블루오션이다.